티스토리 뷰

(과거)현황 중심의 자료지만, 미래를 내다보기 위해 참고가 될까하여 작성해 봄

철강 제품의 주요 시장인
건설산업이 축소되고 있고
조선산업은 수량 면에서 중국에 밀리고
자동차 또한 해외 생산이 늘어나고 있고, 가격 경쟁도 심해지는 상황인데,
주요 시장의 침체와 경쟁 심화가 개선될 가능성이 높지 않다면, 새로운 (대규모 수요) 시장을 개척해야 하는데
(물론 현재의 경영진과 참모들이 아주 잘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테슬람', '애플빠' 처럼)
'포스빠'를 만드는 전환 노력이 필요할 듯 ... ... ...

[주요 질의 내용]

  • 열연강판과 냉연강판을 비교하여 설명하시오.
  • 전기강판은 상기 설명된 열연강판, 냉연강판과 어떻게 다른가요?
  • 열연강판의 주요 소비 시장에 대해 설명하시오. 수요가 가장 많은 시장순으로 나열하고 데이터가 있다면 주요 소비자명과 시장 규모도 함께 설명하시오.
  • 냉연강판의 주요 소비 시장에 대해 설명하시오. 수요가 가장 많은 시장순으로 나열하고 데이터가 있다면 주요 소비자명과 시장 규모도 함께 설명하시오.
  • 포스코의 매출 중 친환경 인프라 부분은 구체적으로 어떤 제품을 판매하는지 조사하여 설명하시오.

 

 

열연강판과 냉연강판을 비교하여 설명하시오.

열연강판과 냉연강판 비교

구분열연강판 (Hot Rolled Steel)냉연강판 (Cold Rolled Steel)

제조 과정 고온(약 1,100~1,250℃)에서 압연 후 냉각하여 생산 열연강판을 다시 상온에서 냉간 압연하여 생산
표면 상태 거칠고 산화물(스케일)이 남아 있음 매끄럽고 깨끗한 표면
기계적 성질 연성이 좋아 가공성이 우수하지만, 강도가 상대적으로 낮음 강도가 높고 경도가 증가하지만, 연성은 다소 낮아짐
두께 정밀도 두께 편차가 비교적 큼 두께가 균일하고 정밀도가 높음
용도 구조물, 자동차 프레임, 조선, 건설, 배관 등 자동차 외장재, 가전제품, 정밀기계 부품 등
가격 상대적으로 저렴 상대적으로 비쌈

추가 설명

  • 열연강판은 높은 온도에서 압연하여 생산되므로 강판이 비교적 저렴하고, 성형성이 뛰어나 대형 구조물이나 산업용으로 많이 사용됩니다.
  • 냉연강판은 열연강판을 추가로 냉간 압연하여 제조되므로 표면이 매끄럽고 치수 정밀도가 뛰어나며, 고급 제품에 사용됩니다.
  • 냉연강판은 열연강판보다 단단하지만, 추가 가공 과정 때문에 생산 비용이 증가하여 가격이 상대적으로 높습니다.
전기강판은 상기 설명된 열연강판, 냉연강판과 어떻게 다른가요?

전기강판과 열연강판/냉연강판 비교

전기강판(Electrical Steel)은 전자기적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 실리콘(Si)을 첨가한 특수 강판으로, 일반적인 열연강판과 냉연강판과는 용도와 특성이 다릅니다.

구분열연강판 (Hot Rolled Steel)냉연강판 (Cold Rolled Steel)전기강판 (Electrical Steel)

제조 과정 고온에서 압연 후 냉각 열연강판을 냉간 압연 실리콘 첨가 → 냉간 압연 후 열처리
주요 특징 연성이 좋고 가공성 우수 표면이 매끄럽고 치수 정밀도 높음 전기적 손실(코어 손실)이 낮고, 자기적 성질이 우수
표면 상태 산화물(스케일) 존재 매끄러운 표면 절연 코팅 처리됨
기계적 성질 강도가 낮고 연성이 높음 강도가 높고 경도가 증가 자기적 성질 최적화 (자속밀도↑, 히스테리시스 손실↓)
용도 구조물, 자동차 프레임, 배관 등 자동차 외장재, 가전제품, 정밀 기계 변압기, 모터, 발전기, 전자기기

전기강판의 특징

  • 실리콘 첨가: 철(Fe) 기반에 실리콘(Si)을 1~4% 첨가하여 전기적 손실을 최소화하고, 자기적 성능을 향상시킵니다.
  • 절연 코팅: 표면에 절연 코팅을 하여 전류가 철판 내부에서 소용돌이치며 발생하는 **와전류 손실(Eddy Current Loss)**을 줄입니다.
  • 방향성 여부:
    • 방향성 전기강판 (Grain-Oriented, GO): 변압기 등에서 특정 방향으로 자기적 성능을 최적화한 강판
    • 비방향성 전기강판 (Non-Grain-Oriented, NGO): 모터, 발전기 등 다방향에서 일정한 자기적 성능이 필요한 경우 사용

즉, 전기강판은 일반적인 열연·냉연강판과 달리 기계적 성질보다는 자기적 성질을 최적화한 특수 강판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

열연강판의 주요 소비 시장에 대해 설명하시오. 수요가 가장 많은 시장순으로 나열하고 데이터가 있다면 주요 소비자명과 시장 규모도 함께 설명하시오

열연강판은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며, 주요 소비 시장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건설 산업: 건축 구조물, 교량, 고층 빌딩 등에서 구조용 자재로 사용됩니다.
  2. 자동차 산업: 차량 프레임, 섀시 등 주요 부품의 제작에 활용됩니다.
  3. 조선 산업: 선박의 외판 및 내부 구조물 제작에 필수적인 소재로 사용됩니다.
  4. 기계 제조 산업: 중장비, 산업 기계 등의 부품 제작에 사용됩니다.
  5. 배관 및 튜브 산업: 유체 이송을 위한 파이프 및 튜브 제조에 활용됩니다.

현재, 정확한 시장 규모와 주요 소비자에 대한 최신 데이터는 제한적입니다. 다만, 2022년 기준 전 세계 강판 시장 규모는 약 6,590억 5,970만 달러였으며, 2032년에는 약 8,478억 2,30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어 연평균 성장률(CAGR)이 2.55%로 추정됩니다.

한편, 한국 시장에서는 중국산 열연강판 수입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2023년에는 약 144만 톤의 중국산 열연강판이 수입되어 6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하였습니다.

이러한 수입 증가는 중국 내수 부진으로 인한 과잉 생산 물량이 해외로 유입되면서 발생한 현상으로, 국내 열연강판 시장의 경쟁이 심화되고 있습니다.

정확한 시장 규모와 주요 소비자에 대한 최신 데이터는 지속적인 시장 조사와 통계를 통해 업데이트되어야 합니다.

냉연강판의 주요 소비 시장에 대해 설명하시오. 수요가 가장 많은 시장순으로 나열하고 데이터가 있다면 주요 소비자명과 시장 규모도 함께 설명하시오.

냉연강판은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되며, 주요 소비 시장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자동차 산업: 차체 패널, 섀시, 내부 부품 등 자동차 제조에 널리 사용됩니다.
  2. 가전제품 산업: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등 가전제품의 외장 및 내부 부품으로 활용됩니다.
  3. 건설 산업: 건축 자재, 지붕재, 벽체 등 건축 구조물에 사용됩니다.
  4. 기계 제조 산업: 산업용 기계 및 장비의 부품 제작에 사용됩니다.
  5. 조선 산업: 선박의 내부 구조물 및 특정 부품 제작에 활용됩니다.

글로벌 냉연강판 시장 규모는 2023년 약 1,229억 2,000만 달러로 추산되며, 2032년까지 약 1,666억 3,00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예측 기간 동안 연평균 성장률(CAGR) 3.44%를 나타냅니다.

국내 시장에서는 동국산업, 한국철강, 나스테크 등 3개사가 전체 냉연강판 공급 물량의 약 90%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또한, 현대제철은 연간 600만 톤 이상의 냉연강판을 생산하며, 자동차 산업의 경량화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 초고장력 강판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최근 국내 냉연강판 시장에서는 수입산 제품의 유입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2023년 1~5월 동안 냉연강판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13% 증가한 39만 1,075톤으로, 이는 지난 3년 내 최대 수준입니다. 주요 수입국으로는 중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수입 증가는 가격 경쟁력과 다양한 제품 수요에 기인하며, 국내 냉연강판 시장의 경쟁 구도를 변화시키고 있습니다.

포스코의 매출 중 친환경 인프라 부분은 구체적으로 어떤 제품을 판매하는지 조사하여 설명하시오.

포스코의 매출에서 친환경 인프라 부문은 전체 매출의 약 44%를 차지하며, 이 부문에서는 다양한 친환경 제품과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주요 제품과 서비스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스틸 모듈러 건축 솔루션: 철골 구조체에 벽체, 창호, 전기 배선, 배관, 욕실, 주방 기구 등 자재와 부품의 70~80%를 공장에서 미리 제작한 후 현장에서 조립·설치하는 탈현장(OSC) 건축 공법입니다. 이 방식은 기존 콘크리트 공법보다 건설 단계에서 탄소 및 폐기물 배출을 줄일 수 있으며, 생산성 향상과 인력난, 안전·품질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주택 건설 방식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2. newsroom.posco.com
  3. 프린트 강판(PosART): 목재와 석재를 대체하는 친환경 건축 자재로, 선명한 해상도와 적층 인쇄 기술을 통해 다양한 질감을 섬세하고 생생하게 구현할 수 있습니다. 이는 문화재 안내판, 커피 체인점, 문화·교육 공간, 공동주택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4. newsroom.posco.com
  5. 교량 전용 후판 및 기가스틸: 대형 인프라 프로젝트인 인천 제3연륙교의 주탑과 거더, 케이블 등에 사용된 고강도 강재로, 포스코의 건설용 강재 약 25,500톤이 사용되었습니다.
  6. newsroom.posco.com
  7. 스틸 커튼월 및 지붕재: 인천국제공항 제2여객터미널 확장 공사에 적용된 제품으로, 포스코와 포스코스틸리온이 생산한 지속 가능한 소재를 사용하여 제작되었습니다. 스틸 커튼월은 강도와 구조 성능이 우수하며, 넓은 조망과 개방감을 구현할 수 있고 다양한 디자인이 가능합니다. 또한, 알루미늄 등 타 소재 대비 단열 및 내화 성능이 뛰어나며 탄소 발생량이 적습니다.
  8. newsroom.posco.com

이러한 제품과 솔루션을 통해 포스코는 친환경 인프라 부문에서 지속 가능한 건축과 인프라 구축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