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내수시장 크기로 본다면, 중국만큼 인도도 매우 큰 시장이다.
이러한 내수시장을 바탕으로 수출시장에서도 인도가 두각을 나타낼 가능성에 대해 조사함.

 

https://www.linkedin.com/pulse/chinas-textile-apparel-exports-journey-growth-challenges-lancy-jia-pq32c

 

  • 현재 중국은 세계 의류 수출 시장에서 압도적인 1위를 차지하고 있음.
  • 2위인 방글라데시에 비교해서는 4배 이상의 수출 규모를 보임.
  • 2022년 기준 중국은 전 세계 섬유수출의 43.6%를 차지했고, 의류 수출에서도 36.1%의 점유율로 1위를 유지하고 있음.
  • 인도는 세계 의류 수출시장에서 6위 수준으로 약 3.9%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음.

 

[인도의 성장 잠재력]

  • 인도 정부는 섬유 및 의류 산업 발전을 위해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며, 생산연계인센티브(PLI) 제도, PM MITRA 파크 등의 이니셔티브를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산업기반을 구축하고 있음.
  • 인도는 4,500만명 이상의 숙련된 노동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인건비가 중국보다 낮아 노동집약적인 의류 산업에 유리함.
  • 인도는 세계 2위의 면화 생산국으로 의류 생산에 필요한 원자재를 자체 조달할 수 있는 강점이 있음.
  • 인도는 고부가가치 제품과 기술집약적 섬유 생산에 주력하고 있어 장기적으로 경쟁력 향상이 기대됨.

 

[중국의 도전 과제]

  • 중국의 인건비와 생산 비용이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어 가격 경쟁력이 약화되고 있음.
  • 미중 무역 갈등 등으로 인해 글로벌 기업들의 중국 의존도가 낮아지고 있음.
  • 풍부한 내수 시장으로 인해 수출 성장세가 둔화될 수 있음.

 

[인도의 과제]

  • 물류 및 운송 인프라를 현재 대비 월등하게 개선할 필요가 있음.
  • 대규모 생산 시설 구축 및 기술 혁신을 통해 생산성을 높여야 함.
  • 고품질 제품 생산을 위해 엄격한 품질 관리와 제도/인력 확보가 요구됨.
  • 주요 시장과의 자유무역협정(FTA) 체결을 통해 관세 혜택을 받을 필요가 있음.

 

인도가 중국보다 더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긴 하지만, 여러가지 과제가 해결돼야 하는 숙제를 안고 있어 단기적으로는 중국을 추월하기는 어려울 것을 판단됨.

반응형
반응형
250x250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