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조사 자료와 의견이 혼합돼 있음.
지평선 안에서 벌어지는 사건에 대해서는 지평선 밖에서는 어떠한 정보도 감지할 수 없다는 의미로 붙여진 이름이다.
이 용어는 천체물리학에서 주로 사용되는 용어로서, 블랙홀과 같은 강력한 중력장을 갖는 천체를 설명할 때 사용된다. 사건의 지평선은 블랙홀의 가장 바깥 경계로서 이 경계를 넘어서면 그 어떤 것도 다시 빠져나올 수 없게 되는 한계 라인을 의미한다. 심지어 빛조차도 블랙홀의 중력을 이기지 못하고 빨려들어가게 되는 지점을 가리킨다. 따라서 사건의 지평선을 넘어선 물체는 외부에서는 어떠한 수단으로도 관측할 수 없으며, 그 너머에서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알 수가 없게 된다.
슈바르츠실트 반지름(Schwarzschild radius)
- 질량을 가진 물체는 질량 손실 없이 자신의 슈바르츠실트 반지름보다 작아지면 블랙홀이 된다.
- 일반 상대성 이론상 아인슈타인 장방전식의 해 중 하나인 슈바르츠실트 해(solution)
- 슈바르츠실트 블랙홀, 커 블랙홀(Kerr Black Hole, 회전 블랙홀), 라이스너-노드스트롬 블랙홀(Reisner-Nordstrom Black Hole, 대전 블랙홀)
우주론적 사건의 지평선 vs. 관측 가능한 우주
- 현재 우리가 관측하고 있는 또는 관측 가능한 우리 우주 내 은하라고 하더라도, 우주 공간의 지속적인 팽창으로 인해 그 은하들 중 일부 은하의 현재 상태(위치, 크기 등)는 앞으로 영원히 관측할 수 없는 상황이 된다. 그 은하들이 빛의 속도보다 더 빠른 속도로 멀어지고 있으므로!
적색 편이
- 빛의 파장이 길어지는 현상
- 사건의 지평선에 근접할수록 빛이 블랙홀을 빠져나오기 힘들어지고(속도가 느려지고) 따라서 이동하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므로 관찰자 입장에서는 빛의 파장이 길어지는 것으로 관측될 듯.
청색 편이
- 빛의 파장이 짧아지는 현상
- 사건의 지평선에 가까울수록 더 큰 시간 지연을 가지므로, 사건의 지평선 반대편에 보이는 별(사건의 지평선에서 아주 멀리 있는)은 실제보다 파장이 짧아져서 관측되는 듯.
상대론적 도플러 효과
- 블랙홀 주변을 공전하는 빛이 관측자에게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빛이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빛보다 더 많이 관측되고 더 밝아보이게 되는 현상
광행차(Light abberation)
- 실제 광학계가 이상적인 광학계와 다소간의 차이가 나기 때문에 생기는 광학계 상의 오차
- 사건의 지평선 근처에서는 관측 대상 물체 상의 관측 위치에 따라(아주 미세하더라도) 광학적인 성질이 달라질 수 있다.
블랙홀의 기조력
- 조수 간만의 차이를 일으키는 힘
- 관측 대상 물체 상의 위치에 따라 중력이 다르게 작용하여 발생하는 현상
중력 렌즈(Gravity Lens)
- 영화 인터스텔라에서 등장하는 블랙홀의 이름은 ‘가르강튀아(Garguantua)’임.
- 영화에서는 연료가 부족한 우주선의 가속을 위해 가르강튀아의 사건의 지평선에 근접하여 비행함.
관련 영화
- The Black Hole(1979) :블랙홀의 경계
- Event Horizon(1997) : 우주선의 이름
- Contact(1997) : 웜홀 여행과 블랙홀 경계
- Donnie Darko(2001) : 블랙홀과 시간 왜곡
- Sunshine(2007) : 태양의 힘의 경계선
- Stargate SG-1 : Continuum(2008) : 웜홀 경계
- Interstellar(2014) : 블랙홀의 경계선
- The Theory of Everything(2014) : 스티븐 호킹이 제안한 블랙홀
- The Cloverfield Paradox(2018) : 차원 이동 실험
맥스웰 방정식
- 언젠가 한 번 다뤄볼 주제
반응형
'InfoDesk > Scie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인슈타인이 발표했던 논문들 개요 (0) | 2024.10.21 |
---|---|
가르강튀아(Gargantua) (1) | 2024.09.26 |
자외선 종류 및 작용 (0) | 2024.09.20 |
이번 추석이 유난히 더웠던 이유 (5) | 2024.09.19 |
조류에 중성자선을 조사하여 새로운 에너지원 생성 (0) | 2024.07.18 |
반응형
250x250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혁신
- 심심풀이
- Innovations&Hurdles
- Innovation&Hurdles
- 오블완
- 둎
- image
- Decorator
- 허들
- Innovations
- 빌리언트
- arduino
- BSC
- 절연형
- 치매방지
- Hurdles
- 티스토리챌린지
- 아두이노
- 전압전류모니터링
- 심심풀이치매방지기
- 전압
- 혁신과허들
- badp
- bilient
- 전류
- ServantClock
- DYOV
- 배프
- Video
- 치매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