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2004년 5월 : '우리나라 주요 산업별 경쟁력 분석'(한국개발연구원)

 

외환위기 이후 5년이 넘었지만 ... <중략>
저가 범용 제품에 있어 국내 기업의 수출/내수시장이 지속적으로 잠식되는 반면,
반도체/자동차 등 국내 주력산업의 선도기업들은 중국을 일종의 특수시장으로 삼아
세계적 일류기업으로서 새롭게 발돋움하고 ... <중략>
전기전자, 자동차, 화학, 기계, 섬유의류의 5개 제조업과
사업서비스 등 총 6개 산업의 경쟁력을 분석

 

우리나라 주요 산업별 경쟁력 분석 | 나라경제 | KDI 경제교육·정보센터

 

우리나라 주요 산업별 경쟁력 분석 | 나라경제 | KDI 경제교육·정보센터

외환위기 이후 5년이 넘었지만 우리나라 산업의 경쟁력에 대한 깊은 불안과 의구는 여전하다. 우리 산업의 경쟁력에 관한 불안의 밑바탕에는 세계경제환경의 급격한 변화, 그리고 무엇보다 중

eiec.kdi.re.kr

 

2024년 7월 : '국내 산업구조 변화를 고려한 전망모형 고도화 연구'(한국경제시스템분석학회) [링크]

 

전산업은 2029년까지 평균 2.0% 성장 전망
대부분 산업이 평균보다 낮은 성장 예상
서비스업은 연평균 2.4% 성장 전망

한국경제시스템분석학회

 

 

2015년 : '새로운 산업 정책의 모색'(김도훈 산업연구원 원장) [링크]

 

1) 기존 주력산업의 변신 : 제품 차별화, 차세대 분야 선점, 생산공정 상류 부문 기술력 강화
2) 신기술산업의 육성 : 소비자 선호도 쟁취, 경쟁자들과 다른 제품
3) 새로운 산업 소스: 서비스(문화)와 제조업 기술의 결합

 

2019년 2월 : '제조업 위기 시대의 새로운 산업정책 방향의 모색'(김도훈, 경희대 교수)[링크]

 

2024년 5월 : '새로운 디지털 질서 정립 추진 계획'(정부) [링크]

 

2024년 5월 : '4차 산업혁명 시대 제조업의 변화'(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링크]

제조의 서비스화는 제품의 판매 경쟁력을 높이고 수익을 증대시키는 한편 기술적으로 평준화 되고 있는 경쟁 환경에서 차별화 포인트로 부각
국내 제조기업은 주로 제품의 생산 이후 사후 관리서비스에 치중되어 있어 제품 R&D, 생산, 판매, 사용 등 관련 가치사슬 전반에 서비스를 융합하고 있는 선진국에 비해 낮은 경쟁력 보유

 

2024년 3월 : '디지털 경제시대, 건설기계산업의 트렌드와 각 단계별 전략'(한국건설신문) [링크]

 

"현존하는 기업은 10년 이내에 40%가 망할 것이다.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디지털로 변신한 기업만 살아남는다"(존 챔버스)
반응형
반응형
250x250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